
STRIKER SUPPORT
스트라이커는 축구드론으로 워런티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구글 앱 버전으로 실행 시 COM 포트 인식이 안될 수 있습니다. 베타 플라이트 사이트 내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 받으신 후 설치하고, 아래의 사항을 확인하여 주십시오.
C타입 케이블을 교체 해봅니다.
최신 STM USB VCP 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
최신 CP210x 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
Zadig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Q1. 사용중인 송수신기, FC 가 무엇인가요?
A1. ST08, ST12D (제품지원 셋팅 매뉴얼)
A2. ST10 (프로토콜 ibus, sbus 일치하는지 확인)
A3. F7 (덤프로그로 다시 셋팅)
Q2. 아밍불가 플래그를 확인해주세요.
A1.Throttle : 스로틀이 너무 높습니다.
- 스로틀을 최하단으로 내려보세요.
- 내렸는데도 아밍불가 플래그에서 'Throttle'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베타플라이트 '수신기'탭으로 이동합니다.
- 조종기 중립 상태에서 1~4ch의 값 확인 (1500) - 중립값은 서브트림을 이용하여 1500을 맞춘다.
- 최소, 최대 값 (1000,2000)
- 엔드포인트를 조절하여 1000, 2000으로 세팅
A2. MSP : MSP 연결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연결을 해제 후 다시 시도하세요.
- PC 연결 해제 후 시동 걸어보세요
아래의 사항을 순서대로 확인합니다.
프로펠러 방향이 정확한지 확인합니다.
모터 회전 방향이 정확한지 확인합니다.
프로펠러가 견고하게 고정이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FC 방향이 맞게 세팅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모터선, 변속기 연결 부위가 통전이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베타플라이트 진입 후 모터 탭에서 모터를 하나씩 회전시켜보고 각 모터번호에 맞게 회전하는지 확인합니다.
베타 플라이트 실행 후 기체와 연결하고 '환경 설정 - 에어모드 영구사용' 메뉴를 비활성화 하여 주십시오.
아래의 사항을 순서대로 확인합니다.
조종기 초기 화면에서 트림이 걸려 있는지 확인 합니다.
프로펠러의 마모도를 체크하며 모터 공회전시 각 모터가 균일하게 회전을 하는지 확인합니다.
베타 플라이트 진입 후 기체를 평평한 곳에 놓고 자이로 칼리브레이션을 합니다.
수신기 탭에서 모든 스틱방향이 1500 중립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아래의 사항을 순서대로 확인합니다.
조종기와 수신기 바인딩이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수신기 불빛이 초록색)
베타플라이트 진입 후 포트탭에서 Rx1 포트가 on인지 확인합니다.
환경설정 탭에서 수신기모드 - Sbus 시리얼 기반 수신기, 시리얼 수신기 공급자 – SBUS 세팅인지 확인합니다.
CLI 탭에서 해당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et serialrx_halfduplex = on 입력 후 save 엔터)
어느정도의 모터 발열은 정상적인 증상이며 손을 못 댈 만큼 뜨겁거나 타는냄새, 모터 코일이 그을린다면 아래의 내용을 확인합니다.
모터 체결 나사가 모터 하단 부 코일에 닿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합니다.
프로펠러가 견고하게 고정이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모터 내부 이물질이 들어갔는지 확인합니다.
모터 체결 프레임 암대 부분에 크랙이 있거나 유격으로 인해 진동이 생기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펜타 가드를 교체합니다.
헬셀 스트라이커는 대회용 고성능드론으로 고도유지 비행모드가 없으며 스로틀 중립시 고도가 상승합니다.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스트라이커 F7 FC의 USB-C 포트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고, 반대편 USB 단자 부분을 PC에 연결합니다.
스트라이커 F7 덤프로그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덤프로그 다운로드 받기
덤프로그를 실행하고 전체 선택 후 복사를 합니다. (전체 선택 단축키: Ctrl+A / 복사 단축키: Ctrl+C)
4. 베타 플라이트를 실행합니다. 5. 왼쪽 메뉴중 하단 ①CLI 메뉴를 눌러주고 ② 부분에 아까 실행 후 복사 했던 덤프 로그를 붙여넣고 엔터키를 눌러줍니다.
6. 약 1분정도 지속적으로 덤프로그가 베타 플레이트에 업로드 중이며, 업로드를 완료할 때 까지 기다려 주십시오. 7. 베타 플라이트 화면에 덤프로그가 모두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되는 움직임이 멈춥니다. 이 때, 'save' 라고 입력하고 엔터키를 눌러주면 끝입니다.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스트라이커 F7 FC의 USB-C 포트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고, 반대편 USB 단자 부분을 PC에 연결합니다.
2. 스트라이커 F7 덤프로그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3. 찾기 메뉴를 실행해 "set serialrx_halfduplex"를 검색합니다. (찾기 메뉴 단축기 : Ctrl+F)
4. set serialrx_halfduplex = ON 을 set serialrx_halfduplex = OFF로 변경합니다.
5. 덤프로그를 전체 선택 후 복사를 합니다. (전체 선택 단축키: Ctrl+A / 복사 단축키: Ctrl+C)
5. 왼쪽 메뉴중 하단 ①CLI 메뉴를 눌러주고 ② 부분에 아까 실행 후 복사 했던 덤프 로그를 붙여넣고 엔터키를 눌러줍니다.
6. 약 1분정도 지속적으로 덤프로그가 베타 플레이트에 업로드 중이며, 업로드를 완료할 때 까지 기다려 주십시오. 7. 베타 플라이트 화면에 덤프로그가 모두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되는 움직임이 멈춥니다. 이 때, 'save' 라고 입력하고 엔터키를 눌러주면 끝입니다.
스트라이커 조립의뢰시 조립은 모터 변속기 FC까지 조립 후 비행을 확인 합니다. 팬타가드와 바텀가드는 고객님이 직접 조립하시는 방식으로 제공됩니다.
자이로와 가속도계가 틀어져있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증상을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체와 조종기를 모두 켜줍니다.
2. 기체를 평평한 바닥에 놓아줍니다.
3. 아밍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른쪽 스틱은 6시 방향,
왼쪽 스틱은 7시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3~5초간 유지합니다. (자이로 보정)
4. 아밍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른쪽 스틱은 6시 방향,
왼쪽 스틱은 11시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3~5초간 유지합니다. (가속도계 보정)
5. 아밍 후 기체의 비행 상태를 점검합니다.
조종기의 서브트림과 엔드포인트를 설정하여 값을 맞춰주셔야 합니다. (ST10 기준)
1. 설정 아이콘 -> Function -> Subtrim, End points로 진입합니다.
2. 해당 사진과 똑같이 설정해 줍니다.
서브트림
엔드포인트